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MACD
    WORD/주식 2020. 5. 8. 17:21
    728x90

    MACD

    이동평균수렴·확산지수
    [Moving Average Convergence & Divergence]

    약어: MACD

    수익폭이 줄어 드는 이동평균성의 후행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79년
     Gerald Appel이 개발했다.

    단기이동평균과 장기이동평균의 차이인
     MACD
    n일간의
     MACD 지수이동평균인 시그널(signal)선 

    ⊙+이용하여
    매매 신호를 파악.

     

    MACD : 기간이 다른(단기, 장기) 이동평균선 사이의 관계에서 추세변화의 신호를 찾으려는 진동자 지표다.

     

    MACD는 이동평균선을 이용해 매매신호를 찾으려 한다. 

    이동평균선을 만드는 이유는 주가의 단기변동 때문에 나타나는 불규칙성을 제거하기 위해서이다.

    MACD 지표는 서로 멀어지면(diverge) 결국 다시 가까워진다(converge)는 성질을 이용해 두 이평선이 가장 멀어지는 시점(고점  and 저점)을 찾는 것이다.                       추의 진동을 생각(진동자 지표)

     

    단순이동평균선은 추세전환 신호가 늦게 나타난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MACD지수이동평균을 사용한다. 

    더보기

    지수이동평균 이격도

    그랜빌(J. E. Granville)의 투자법칙 중 하나.

    당일의 주가를 당일의 이동평균으로 나눠

               100% 이상이 되면 당일의 주가가 이동평균선보다 위에 있는 상태
    100% 이하는 주가가 이동평균선 아래에 있는 상태

    이동평균선과 현실주가와의 괴리가 클 경우 매입 또는 매도시점을 파악하는데 활용한 지표.

    그랜빌은

    상승국면의 경우
    25일선 및 75일선의 이격도가 98% 수준이 되면 매입시점이고,
    110%가 넘으면 매도시점이 된다.

    하락국면의 경우 
    25일선 92%, 75일선 88%수준이 매입권,
    25일선 102%, 75일선 104%가 매도권으로 보았다.

     

    MACD이동평균보다 정확하게 고점과 저점을 잡아낸다.

    MACD추세 방향과 주가 움직임을 분석하는데 좋은 지표.

     

    'WORD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가이동평균  (0) 2020.05.08
Designed by Tistory.